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github
- blind sql injection
- 포인터
- Pwndbg
- suninatas 풀이
- xss game 풀이
- object
- burp suite
- 조건문
- python
- 사칙연산
- 메소드
- 백준 파이썬
- xss game
- document
- 김성엽 대표님
- IF문
- property
- 객체
- htmlspecialchars
- element 조회
- 자바스크립트
- 배열
- sql injection
- jQuery
- 함수
- 백준 알고리즘
- window
- lord of sql injection
- 파이썬
Archives
- Today
- Total
power-girl0-0
pwndbg 사용법 본문
728x90
오늘은 pwndbg에 대해 작성해볼 예정입니다.
pwndbg라는 친구를 오늘 처음으로 사용해봤습니다 ㅎㅎ...
한 번 후딱 정리하고, 나중에 필요할 때 보도록 하겠습니다.
1. pwndbg란?
elf 디버거로, gdb 기반으로 만들어졌다.
다른 디버거보다 가독성이 좋은 것으로 유명하다.
2. pwndbg 실행법
gdb 파일명
(1) .gdbinit
① 정의
: gdb 명령어 실행될 때, 어떻게 할지 만드는 스크립트.
② 해당 파일을 볼 수 있는 명령어 : cat ~/.gdbinit
( ※ 해당 파일을 열어봤을 때, source ~~pwndbg이런 식으로 작성되어있으면, pwndbg를 사용하겠다는 것이다. )
③ pwndbg 말고, gdb사용하고 싶을 때 쓰는 명령어 : rm -f ~/.gdbinit
3. 명령어 모음
설명 | 명령어 |
main함수 확인 | disassemble main ( ※ gdb는 disas까지만 쳐도 된다. ) |
break point 걸기 | break *주소값 |
break된 정보 확인 | info break |
break된 곳까지 실행 | run |
한 줄 수행 명령어 | nexti ( =ni ) |
eax상태 확인 ( eax는 예시임. ) | ex) eax 메모리 상태 확인. -> print $eax |
출력타입 지정 | x ex) esp레지스터의 메모리를 word타입으로 4개만 출력 -> x/2wx $esp |
종료 | quit ( =q ) |
결론 : 뭐,,, gdb랑 비슷한 듯 합니다...*^____^*
다른 점은 gdb는 disas되는데, pwndbg에서는 disassemble까지 해야되는 점.
그리고 pwndbg가 보기 편하게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된다는 점인 것 같습니다.
728x90
'System > 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+] Reference (0) | 2021.12.28 |
---|
Comments